-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취지에 대부분 동의합니다. 다만 몇가지 자잘한 말씀을 드리자면최근 버지니아주에서 한 여성이 vCJD로 의심되는 질환으로 사망했습니다.
http://www.fox11az.com/news/topstories/stories/tucson-20080408-virginia-woman-mad-cow.456e6973.html
http://www.nbc12.com/news/healthcast/17419509.html첫번째 기사에선 ‘의사들이 vCJD로 진단했다 diagnosed 고 말했다’고 나오고
두번째 기사에선 ‘vCJD로 의심한다 suspect’라고 썼네요.
상당히 조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이 case를 고려에 넣으셨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 기사를 검색하다가 깨달았는데,
말씀하신 사우디 출신의 남성 vCJD환자도 버지니아 출신이었던 것 같습니다.http://www.naturalnews.com/021285.html
…
또 한가지,
134도에서 autoclave하면 prion이 파괴된다고 하셨는데,
혹시 이 구절을 가져온 reference에 ‘1N NaOH로 장시간 처리한 후 134도에서 고압멸균’이라고 나와있지 않던가요?제 생각으론 가열보다 alkaline hydrolysis로 펩타이드 결합을 끊어주는 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로 햄스터 프리온의 경우
600도로 가열한 후에도 일부지만 감염성이 남아있었다는 실험 결과가 있습니다.New studies on the heat resistance of hamster-adapted scrapie agent:
Threshold survival after ashing at 600°C suggests an inorganic template of replication Brown et al. 97 (7): 3418. (2000)Abstract : http://www.pnas.org/cgi/content/abstract/97/7/3418
본문 : http://www.pnas.org/cgi/reprint/97/7/3418.pdf2000년 논문인데, 이후 이 결과를 반박하는 내용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음식으로 섭취하는 것과 이 실험은 큰 차이가 있겠지만,
위 글에서도 프리온의 사멸을 말씀하셨으니까..)어쨌든 이걸 보고, 가열보다는 NaOH 처리가 더 크리티컬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reference의 확인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