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 (STEM OPT)에서 E2 주재원 비자로 변경

  • #3927107
    herrrrr18 70.***.251.55 583

    안녕하세요, 미국에서 열심히 살고있는 외노자 1인입니다.

    2022년 12월에 대학에서 졸업하여 2023년 2월부터 F1 OPT로 일을 시작했습니다.
    현재 한국 대기업의 미국지사에서 근무한지 9개월정도 되었습니다. (중간에 이직1회, 현재는 STEM OPT 상태입니다.)

    올해가 마지막 h1b 기회였는데 안돼서ㅠㅠ E2 비자옵션을 고려중입니다.
    옵션1) 한국에 가서 E2 Employee 비자 받아오기
    옵션2) 미국내에서 E2 신분변경
    두가지 옵션 중 출입국이 비교적 자유로운 1번을 선호하지만 어떤 리스크가 있을지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1. 거절될만한 리스크 (최근 트럼프 정부, F1 OPT만료 직후 신청, 경력 부족, 등)
    2. 진행 시 소요 기간 (F1 STEM OPT는 2026년 2월에 만료하여 타임라인 파악필요)
    3. 리스크가 크다고 판단되어 옵션2로 진행할 시 나중에라도 옵션1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러모로 고민이 많네요, 어떠한 도움도 감사하겠습니다.

    • 00 68.***.212.207

      e2는 주재원비자는 아닌걸로 알고있어요 employee 비자나 투자비자 이렇게 나뉘었던걸로 알고 L1 이 주재원비자 인걸로알아요

      다만 L1이 떨궈지는 상황이 많이 발생해서 e2를 주재원들에게 근래에 진행했던건 사실이구요 저라면 1번할것같아요

      opt기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모르겠지만 9개월 일하고 h1b 기회 마지막이라는거보니 스템은 아닌가보네요

      • herrrrr18 184.***.103.79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주재원 비자와 E2 Employee 비자를 혼용했네요, 본문 수정했습니다.
        현재 STEM OPT입니다. 전직장에서 1년반정도 있었고, 이번 직장이 9개월째여서 이번이 마지막 h1b기회였네요..

        기왕이면 1번으로 진행하고 싶은데 리스크들이 있어서 걱정이 되네요ㅠㅠ 답변 감사합니다!!

      • pro bono legal service 152.***.12.231

        15년 차 미국 변호사입니다. Pro bono legal service 차원에서 아래와 같이 이민법 무료 상담 네이버 까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 까페에 질의를 하시면 제가 자세히 답변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ttps://cafe.naver.com/freeusimmigration

    • visa 47.***.45.162

      고수 및 전문가분들이 답변하시겠지만 제가 아는 범위내에서 먼저 말씀드리면,
      E-2는 주재원 비자가 아니라 한국에 본사를 둔 회사가 해외에 법인을 냈을 때 본사 소속 직원을 파견할 때 발급되는 비자로 주재원 비자(L-1)와는 조금 다르지만 윗분 언급대로 일부 회사에서 주재원을 E-2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다만 E-2도 기본 매니저급에 대한 비자로 OPT 9개월 경력자가 한국에서 E-2 받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E-2를 받기 위해서는 이 사람의 포지션이 매니저급인지, 부하직원의 구성이 어떠한지, 연봉은 어떠한지 등을 모두 보는데 가능할까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조금 쉬운 미국 현지에서 E-2를 받는 것입니다. 다만 아시는대로 현지에서 E-2 받으면 여권에 VISA가 없기 때문에 출국 후 재입국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E-2 받은 후 최대한 빨리 영주권을 접수하죠.
      현지에서 E-2 받은 사람이 한국갔다가 대사관에서 인터뷰하고 E-2 비자 여권에 붙이려다가 리젝되어 못 들어온 경우도 많죠.
      다만 최근 트럼프 정부 들어와서 현지에서의 E-2도 까다로와져서 보완요청이나 리젝 케이스가 엄청 늘었습니다.

      • herrrrr18 184.***.103.79

        답변 감사합니다! E-2 Employee 비자의 기본 요건들은 다 충족하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들이 많은 것 같네요..
        최근 흉흉한 상황이기도 해서 옵션1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 변호사와 상담해봐야겠습니다.

        혹시 옵션2 (현지에서 E-2 Status) 진행으로 몇년 정도 일하다가 경력이 어느정도 찬 후에 옵션1 (E-2비자)으로 진행하는 케이스도 보신적 있으실까요?

        • visa 47.***.45.162

          옵션2에서 옵션1로 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옵션2에서 영주권으로 바로 갑니다…
          영주권 진행중 EAD카드 받을 때까지는 출국 계획 없이 일해야죠.
          나이아가라도 미국에서 보셔야 하구요~~ 크루즈 잘못 타면 클납니다~

    • 우리만없어 189.***.55.179

      OPT로 9개월 일했는데 그것도 한곳이 아니라 이직을 하고…한국가서 E2 받고 싶다는건 쉽지 않겠지만 모두 본인이 알아서 판단하세요
      1년정도 일하고 E2 한국에서 받아 나온사람들도 있음 그러나 영어를 아주 유창하게하고 본인 업무에 대해서 설명을 잘하면 됩니다.
      E2를 미국에서 받으면 빨리 영주권 절차 들어가는게 인생에 1이라도 도움이 되겠네요

    • Ohoh 95.***.245.37

      뭔 말도 안되는 .. 그경력으로….
      본인이 인맥이 있어서 친척이나 지인회사에서 해주면 모를까 인턴급한테 e2를…

    • DD 136.***.82.164

      저희 회사는 L1 보다는 E2 비자를 주로 받아서 들어오고 있고, 현지 채용 인력도 옵션1, 욥션2 다 문제없이 받아왔었습니다.
      경력도 있어야 하겠지만 한국에서 받는 E2는 회사 규모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단지 요즘은 대기업 직원들도 한국에서 E2 거절되서 못들어 오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급하기 한국 나가야 하는 것 아니면 미국에서 E2 받아서 영주권 진행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herrrrr18 184.***.103.79

        답변 감사합니다! 한국 대기업이고, 미국에서 사업한지도 오래되어서 규모는 문제 없습니다. 이전에 경력 2년차때 옵션1로 E2 받아오신 현지 채용 인력 분들도 계시고요 (5년+ 전이긴 하지만요..)
        말씀 주신대로 시국이 시국인만큼 잘 고려해서 회사와 상의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