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살의혹 다시 불거진 ‘장준하’ 사건은
| 기사입력 2012-08-17 15:02민주 “박근혜, 5·16 쿠데타·유신정권에 대한 반성과 사죄 필요”
박 후보, “진상조사단서 목격자 상대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냐”
【서울=뉴시스】 유신독재 시절 박정희 정권에 맞서다 의문의 죽임을 당한 고(故) 장준하 선생의 타살 의혹이 37년만에 다시 부각되면서 그가 어떤 인물인지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장준하 선생의 유족들은 지난 1일 경기 파주시 탄현면 통일동산에 조성 중인 ‘장준하 공원’으로 고인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타살로 추정되는 증거들을 발견, 유골 검시를 의뢰했다. 검시 결과 두개골 쪽에서 인위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상처가 발견됐다.
장준하 선생은 1960년대부터 1975년까지 무려 37번의 체포와 9번의 투옥을 무릅쓰며, 박정희 전 대통령과 싸웠던 ‘정치 라이벌’로 불린다.
그러던 중 1975년 8월17일 경기도 포천 소재 약사봉에서 숨진채 발견됐다. 당시 중앙정보부 등 권력기관에 의한 타살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간단한 검안외에 대대적인 조사는 없었다.
박정희 정부는 장준하 선생의 사망을 추락사로 규정했다. 당시 경찰은 “(고인이) 등반대 45명과 산에 올랐다가 12m 낭떠러지에서 실족, 뇌진탕으로 사망했다”고 내사 종결했다.
당시 경찰 조사결과 고인은 사망 당일 오전 11시30분께 약사봉 샘물터에서 식사를 준비했으나, 장준하 선생과 일행 중 김용환씨만 계속 산을 올랐다. 이후 고인이 낭떠러지로 굴러떨어졌고 동행한 김씨가 이를 처음 발견해 일행에게 알렸다. 김씨는 또 경찰이 아닌 군부대에 먼저 이 사실을 알렸다고 돼있다.
하지만 경찰 발표는 ‘의문사’ 논란으로 증폭됐다. 고인이 아무 장비 없이 가파른 절벽을 내려오려 했던 점과 등산코스가 아닌 벼랑을 하산길로 택한 점, 김씨가 군부대에 먼저 추락 사실을 알린 점 등이 의문으로 남았다. 당시 일부 언론은 이런 점 등을 의문으로 제기하며 대서특필했다.
박 정권은 이를 보도한 기자를 긴급조치 9호 위반 혐의(유언비어 날조 등)로 구속하고, 해당 언론에 정정보도 등 압력을 가했다.
역사에 묻힐 뻔한 이 사건은 1993년 ‘장준하선생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꾸려지면서 재점화됐다. 그러나 결정적인 증거는 찾지 못했다.
그후 2004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장준하 선생의 타살의혹을 제기하며 재조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이 역시 ‘진상규명 블능’이라는 결론이 내려져 유족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이번 유골 이장 과정에서 타살 의혹을 뒷받침할 결정적 단서가 발견된 만큼 진상 규명 활동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고인의 타살 의혹이 상당히 신빙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대선 국면에서 뜨거운 쟁점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민주당은 지난 16일 장준하기념사업회가 고인의 유골 사진과 유골을 검시한 법의학 교수의 소견서가 공개된 즉시 이부영 상임고문을 위원장으로 하는 ‘고 장준하 선생 의문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동시에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경선 후보를 겨냥, “5·16 쿠데타와 유신정권에 대한 반성과 사죄가 필요하다”고 압박했다.
민주당 추미애 최고위원은 “고인의 유골이 발견되기 전에도 장 선생의 죽음은 군사 독재자들이 저지른 것이라고 알고 있었다”며 “박 후보는 5·16 쿠데타와 유신정권에 대한 반성 먼저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일각에서는 고인의 타살 의혹 규명 여부에 따라 박근혜 후보에게 미칠 정치적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근혜 후보는 지난 17일 장준하 선생 사후 37주기를 맞아 타살 의혹이 재점화되는 것과 관련해 “진상조사단에서 현장과 목격자를 상대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냐”면서 “기록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