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대학 한인 교수 4천여명 달해…하버드 159명 가장 많아”

  • #3833270
    Us 38.***.97.17 2740

    항상 궁금했는데 작년 통계가 있네요. 근데 이거 믿을만한 자료일까요? 정말이라면 하버드에 토종한국인과 재미교포 모두 포함해 159명의 한국인 교수가 있군요. 생각보다 많네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대학에서 활동하는 한인 교수가 4천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주중앙일보는 북미한인교수협회(KAUPA)의 ‘북미 한인 교수 현황 분석’ 논문을 인용해 북미주 공립·사립대학 등에서 활동하는 한인 교수(객원교수·전임강사 포함)가 미국 3천941명, 캐나다 111명 등 총 4천52명이라고 전했다.

    단일 대학으로는 세계 최고 대학 중 하나인 하버드 대학이 15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웨일 코넬 의과대학 52명, 퍼듀대·텍사스 A&M대 각각 50명, 럿거스대 46명, 워싱턴대 43명, 뉴욕대(NYU) 42명 순이었다.

    주별로는 캘리포니아주가 스탠퍼드대 38명,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31명, 서던캘리포니아대(USC) 23명 등 총 471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뉴욕(432명), 텍사스(309명), 매사추세츠(277명), 일리노이(177명), 펜실베이니아(175명) 순이었다.

    전공별로는 수학·과학 분야가 791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경영·경제·금융·농업 분야 629명, 엔지니어링 595명, 의학·치과학·약학·간호학 분야 525명, 교육·종교학 분야 359명, 컴퓨터 사이언스 202명 등이었다.

    직급별로는 조교수(Assistant Professor) 1천395명,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1천188명, 정교수(Full Professor) 968명, 전임강사 198명, 객원교수 143명, 겸임교수 99명 등이었다.

    이번 조사는 KAUPA 회원인 최영배 리전트대 교수, 황성남 사우스이스트 미주리주립대 교수 등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지원을 받아 1년간 진행했다. KAUPA는 1985년 10월 설립됐다.

    최 교수는 “북미 지역의 한인 교수 현황을 분석한 논문은 처음이며, 지난해 8월 기준이어서 가장 최신 통계”라고 밝혔다.

    ghwang@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5/08 09:01 송고

    • 174.***.136.150

      포닥 조교 다 포함.

    • aa 172.***.111.235

      미국 인구수 3.3억,
      Korean American 200만
      구성비: 0.6%

      미국 교수 숫자 150만
      Koran American 교수 숫자 : 4000
      0.3%

      인구비중을 따지면 절반정도이지만, 크게 벗어나지 않은듯.

    • 1234 24.***.98.3

      재미있는 통계네요.
      좋건 나쁘건을 떠나서 한국 교수 포지션이 잡기 하늘의 별따기이니 그냥 미국에서 정착하는 사람들도 많을듯.

      • 유학 75.***.189.187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한국 교수되는 것은
        경력이나 학력이 일정 카타고리 안에 들어야 합니다.
        또한,,나이까지 보고
        일부 명문대는 자대 출신이어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력 + 외부 환경까지 맞아야 국내 교수가 됩니다.

        미국은 일단 일단 이런 경향이 덜합니다.
        이사람의 펀딩 포텐셜이 가장 큰 변수이죠 (R1 대학의 경우)
        국내나 미국이나 경쟁률은 무의미 합니다.
        한명을 뽑기위해 몇번의 cycle을 돌리기도 합니다.
        예전에 누가 언급했지만
        Mall parking lot에 주차 하기 입니다.
        누가 떠나야 빈자리가 생기고 그 빈자에 그 주위에 있어야 교수가 될 기회가 생깁니다.
        수많은 변수가 있습니다.
        교수자체가 (테뉴어 트랙) 된다는게 군인 장군 되는거 만큼 운과 실력이 있어야 합니다.

    • Jon 12.***.159.198

      산업계까지 포함해서 미국에서 활동하는 박사 학위자들 중에 한국인 또는 한국계 미국인은 정말 적습니다. 국제적 위상에 비하면 훨씬 더 많아져야 합니다.

    • 별따기 69.***.63.117

      한국에서 교수는 별따기고 여기는 쉽습니까?

      미국은 정착이고 한국은 별따기라는 말도 안되는 소리에 헛웃음 나와서 지나가다 한마디 합니다. 미국 별따기 할 수 있는 사람이 한국 별따기 별로 관심 없어요. 저기 3000명 중에 우리가 들으면 아는 유명대학 살고싶어하는 유명도시에서 제대로 된 교수하는 사람 몇명있겠습니까. 그런 곳은 한국 교수되는거랑 비교도 안되게 어렵고 경쟁 피튀기지요. 딱히 한국 사는거가 꿈이 아니고는 한국에 SKY 교수가는 거 쳐다보지도 않아요.

      물론 인구수가 차이가 있으므로 온갖 대학 수는 미국이 많겠지요. 미국이고 한국이고 별따기에 경쟁력이 부족하고 어려운 경우는 각자 개인의 선호도와 상황에 따른 선택이지요.

      • 3333 129.***.65.215

        주변에 미국에서 박사받고 한국 간 친구들 처음에는 연구원이나 포닥으로 갔다가 100%다 교수 되었던데…반면에 미국에 남은 사람들은 교수 된 사람 소수고 대부분 인더스트리로 나갔고…물론 인더스트리가 연봉을 많이 주니..

    • ㅇㅇ 140.***.198.159

      그나저나 북미한인교수협회(KAUPA) 처음 들어봄.

    • Twin Girls 159.***.113.194

      이 사이트만 해도 박사, 교수가 3천명 정도 되는데…..

      • ㅇㅇ 140.***.198.159

        그런데, 그 3천명이 덴티스트, 의사, 회계사, 파이넨스/뱅킹 인더스트리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겸하고 있다는 것이 이 사이트의 특징임. 그 중 2천명은 알라바마, 조지아에서도 일 함.

        • 심지어 172.***.165.209

          심지어 그분들 연봉 미디안도 50만불쯤 됨 ㅋㅋㅋ

    • High 165.***.225.244

      심지어 이 사이트엔 박사학위 소지한 사이딩기술자분들도 수두룩해요.

    • 통계조사조언 131.***.38.216

      일반적으로 교수직이라면 테뉴어트랙 또는 테뉴어 받은 교수직을 말합니다. 위 통계조사에 겸임교수 또는 전임강사 포함이라고 되어 있기는 하지만, 좀 더 자세히는 겸임교수, 전임강사,시간강사, 비정년트랙교수(non-tenure track), 테뉴어트랙을 모두 포함했을 겁니다. 각 학교 홈페이지 정보를 보면 겸임교수, 전임강사 및 시간강사는 보통 구분해 놓지만 non-tenure track과 tenure track 또는 tenured는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부에서 홈페이지로만 보면 모두 tenure track 또는 tenured 교수로 보이거든요. 실제로 경쟁이 치열하고 어려운 교수직은 tenure track과 tenured 교수이고 이것도 연구수준과 펀딩을 따지는 R1학교로 좁히면, tenure track이나 tenured 교수직에 있는 한인 숫자는 매우 적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통계조사를 할려면 tenure track또는 tenured 교수직을 조사하는 게 더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한국에서 교수직을 조사할 때도 비정규직 교수는 제외하는 게 일반적이거든요.

      • ㅇㅇ 140.***.198.159

        물론이죠. 전공별로는 수학 분야가 많았다는데, 수학과는 포닥에 해당되는 과정이 non-tenure track assistant professor거든요. 보통 이걸 몇 년 하고서 tenure track에 지원합니다. 그래도,

        >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1천188명, 정교수(Full Professor) 968명

        이 정도라니까, 대략 2천명 정도는 테뉴어 받은 사람일겁니다. 나의 친인척 및 같이 공부한 사람들만 생각해도 10여명은 떠오르는데, 2천명은 전혀 무리스런 숫자가 아니라고 봅니다.

    • 통계조사조언 131.***.38.216

      아니요, Nontenure track도 Associate Professor 와 Full Professor가 있습니다. Associate Professor라고 모두 Tenure 받은 교수는 아니기 때문에 통계오류가 있는 거지요. 이는 학교 내부에서만 알 지 외부에서는 잘 알 수 없는 정보입니다.

    • 3333 129.***.65.215

      할일 드럽게 없네…이런거 조사해서 뭐하냐? 이런거 조사하고 논문 쓰냐?ㅋㅋㅋ

    • ㅁㄴㅇ 174.***.145.24

      하버드의대는 인간적으로 빼고 계산해라. 따제고보면 가짜교수들임.

    • zz 12.***.148.194

      하버드 의대나 들어가고 나서 말해라

    • Trewq 108.***.6.91

      하버드 의대 패컬티가 12000명이 넘음. 그중에 테뉴어트랙 또는 테뉴어드는 200명도 안됨. 연구를 주로 하는 의대 교수란,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강의하고 연구도 하는 교수와는 좀 다름. 펀드를 계속 따지 못하면 살아남을수 없음. 물론 이공계 교수도 잘나가려면 펀드를 잘 따야 하지만 일단 테뉴어 받으면 펀드 못딴다고 잘리진 않음 (일반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