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실리콘벨리나 빅테크 회사들 직원 많이 짜른다던데 많이들 짤맀노?
-
-
마이 짤리믄 거기 니가 갈수 있을 것 같드나?
-
걔네들 짤려도 너보단 잘살걸
-
녀석들 말하는 꼬라지 하고는 ㅋㅋ 그러니 니들 인생이 거지꼴을 못 면하지 ㅋㅋㅋ
-
위에 ㅂㅂ3명들아 이걸 잘봐라 시건방지게 거들먹 거리지 말고 겸손하게 살어라!!
연도별 빅테크 해고 추이 요약 (Tech Layoffs Trend)
연도 해고 규모 및 특징
2020팬데믹 초기로 인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빅테크 기업은 원격근무 확산과 디지털 수요 증가로 오히려 고용 확대 경향.
일부 여행·공유경제 관련 테크 기업(Uber, Airbnb 등)은 구조조정 시행.
2021팬데믹 특수 지속. 빅테크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대규모 채용이 이어짐.
Google, Meta, Amazon 등은 많은 신입과 중견 인력을 확보함.
2022하반기부터 경기침체 우려 + 과잉채용 인식 확산.
Meta: 11,000명 해고 (11월)
Amazon, Twitter, Salesforce 등 대규모 감원 시작
2023대규모 구조조정의 정점
약 1,600개 테크 기업, 26만 명 이상 해고 (Layoffs.fyi 기준)
Google: 12,000명
Microsoft: 10,000명
Amazon: 27,000명
Meta: 10,000명(2차 감원)
“역대 최악의 테크 감원 해”로 기록
2024해고 규모는 줄었으나, 선택적 구조조정 지속
AI 도입 가속화로 인해 전통 업무 포지션 축소
Meta, Google, Amazon은 성과 중심 구조조정
연간 약 10만 명 수준 해고 추정
2025 (현재)구조조정 다시 증가 추세
조직 ‘슬림화’ + AI 중심 재편 본격화
Google: Android/Pixel/Chrome 팀 수백 명
Meta: 3,600명
Oracle: 11,000명
Microsoft, Salesforce, Autodesk도 동참
“AI 시대의 리셋”으로 해고 재점화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해고 현황 (2025년 기준)
Google
2025년 4월, Android, Pixel, Chrome 등 핵심 제품 부서에서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했습니다. 이는 Android와 Pixel 팀의 통합 및 AI 중심 전략 전환(Gemini 프로젝트)에 따른 조직 재편의 일환입니다 .
Android Central
+1
Android Central
+1Meta (Facebook 모회사)
전 세계 직원의 약 5%에 해당하는 3,600명을 해고했습니다. 이는 성과 기반 구조조정으로, 저성과자를 중심으로 감원했습니다 .
India Today
+1
Fast Company
+1Microsoft
보안 부서를 포함한 여러 부서에서 성과 미달 직원을 대상으로 해고를 단행했습니다. 이는 조직 효율화와 성과 중심 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Salesforce
약 1,000명의 직원을 감원하면서도, 동시에 AI 관련 영업 인력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AI 중심 사업 전환을 위한 인력 재배치 전략의 일환입니다 .Oracle
Oracle Cloud Infrastructure(OCI) 부서를 포함해 약 11,000명(전체 직원의 7%)을 해고했습니다. 이는 고위직을 포함한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조직 슬림화와 AI 투자 확대를 위한 조치입니다 .
Channel FuturesAutodesk
전체 인력의 9%에 해당하는 1,350명을 감원했습니다. 이는 AI 및 클라우드 중심 전략 전환을 위한 조직 재편의 일환입니다 .
Channel Futures
Fast Company해고의 주요 원인
AI 중심 전략 전환: 많은 기업들이 AI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면서, 기존 사업 부문을 축소하거나 재편하고 있습니다.성과 기반 구조조정: 성과 미달 직원을 대상으로 한 해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조직의 효율성과 성과 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조직 슬림화 및 비용 절감: 팬데믹 이후 급격히 확장된 조직을 재정비하고, 비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고 추세는 단기간에 그치지 않고,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기술 업계 종사자들은 AI 및 클라우드 등 신기술에 대한 역량 강화를 통해 변화하는 시장에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
결국은 개발은 AI가 하고, 조립은 로봇이 하고, 관리는 프로그램이 하게 되는 건데…
조금 급진적일 뿐…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시대는 없음…
대량 생산이 필요했던 산업혁명 이후로 계속 이러고 있는데…
뭐 새로운 것도 아닌데 너무 호들갑 떨지 말길…
내가 다니는 회사도, 자동화 시스템과 로봇으로 10년 전 대비 매출은 10배이상 인원은 절반으로 줄었음.
결국은… 각자 삶은 알아서 사는 걸로…
남 걱정 말고 님 걱정 -
헬지옥 미국 직장은 뭐 해고가 너무 자유로워서 항상 각오해야함..
-
그래서 다들 제2의 실리콘 밸리인 앨러베마로 넘어오시는것 같습니다. 카더라이기는 해도 워렌버핏이 앞으로 최소 5-10년간 투자 키워드 세가지를 고객들에게도 이메일로 보냈는데 Alamabama, Automotive, Korean 이 세가지가 키워드 였고 이게 과연 무었을 의미 할까요? 네 그렇습니다 알라바마 산업 혁신단지에 위치한 한국 자동차 기업 군단들을 의미하는 겁니다.
-
*alabama
-
요즘 알라바마 기업장 법인장들 모임에서 꼭 나오는 이야기가 어떻게 해야 직원들이 웃으면서 출근하고 즐겁게 일할까 어떤 복지를 추가해야 할까 그 고민이 주된 화두고 매년 큰폭의 보너스와 급여 인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먼저다 알라바마에서 먼저 쓰던 말입니다.
-
짤리면 Severance pay 받고 이직 개꿀
-
알라바마가 지상낙원이라는데 핼켈리사는 입장으로 참 부럽습니다. 캘리는 집값이 미쳐날뛰어서 빈부격차도 실감나고 점점 있는자들만의 리그가 되는것같네요. 10여년전 몽고메리에 들릴일이 있었는데 현기의 위상이 대단하다 느꼈습니다. 또 동네 KFC의 닭튀기는 솜씨가 예사롭지 않더군요. 이제 한인이민자에게는 몽고메리가 답인것같습니다
-
앞으로 예전 미사건의 자동차 산업 영광과 실리콘 밸리의 혁신을 합친 첨단 산업단지로서 알라바마가 향후 수십년 미국 경제를 이끌것으로 싱크탱크에서 예측하고 있고 백악관과에서도 주목하고 밀어주고 있습니다.
-
알라바마 한번 구경이나 가 봐야겠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