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조립해서 쓰는거 어떻습니까?

  • #2502748
    server 166.***.168.111 6431

    이전까지는 항상 PC 를 조립해서 써오다가 나이가 들면서 다 귀찮고 시들해져서 그냥 유명 브랜드 완제품 PC 를 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최고의 성능을 필요로 하는 컴퓨터를 개인적으로 써야 할 일이 생겼는데, 하여튼 무조건 처리속도 빠르고 용량도 많고 인터넷도 최대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 기회에 서버를 한번 조립해볼까 하고 PC 와 서버의 차이에 대해 구글로 읽고 있는데, 좀 더 찾아읽어봐야 완벽하게 파악이 되겠습니다만 지금까지 대충 살펴본 바로는…

    서버가 PC 보다 좋은 점이 성능이라기 보다는 내구성인것 같아 보였습니다.서버의 부품들이 비싸다면 물론 빠른 성능값을 해서 그렇기도 하겠지만 24시간 365일 내내 돌아가도록 튼튼하게 만들어져서 그런것 같더군요. 이게 제가 제대로 파악한건지 모르겠습니다.

    PC 를 장말 많이 조립해서 써봤지만 서버는 단 한번도 조립도 안해보고 집에서 써보지 않아 의외로 아는게 전혀 없군요.

    XEON 비싼거 한번 사서 조립해보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 그게 70.***.100.166

      시끄러워요.

    • 소달구지 199.***.60.214

      잘 보셨습니다.
      저는 둘 다 조립해서 쓰고 있는데 제 의견은..
      서버는 특히 내구성과 다중 사용자를 위해서 설계되었습니다.
      백도어를 통해서 전원 ON/OFF도 가능한 것이 서버만의 장점 중 하나겠네요.
      주로 서버는 집에 없고 Data Center에 있으니깐요. 속도가 엄청 낫다고는 글쎄요.

      따라서, 조사하셨다시피, 혼자쓰느냐 여럿이 쓰느냐, 늘 켜 놓고 있느냐가 변수일거 같습니다.
      혼자쓰신다면, 빵빵한 스펙, 내구성좋은 부품으로 PC를 조립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저는 그렇게 해서 $1500들여서 3년째 실험실 서버를 쓰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 섭어 98.***.193.19

      availability를 위해서 redundant power supply라던지 hot swap drive bay라든지 그런게 있죠. 물론 옵션으로 안넣을 수도 있지만요.
      그리고 기계적인 디자인이 serviceability를 많이 고려합니다. data center에서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게요.

      하드웨어를 보자면, 쿨링 용량이 더 큰 것이 보통입니다. 개인용 컴퓨터보다 higher duty cycle로 돌아갈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더 시끄럽죠. 소음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각종 management infrastructure에 연결되어 관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일반 PC에서는 안쓰는 기능들이죠. replacement part들도 특화되어 있으므로 비쌉니다.

      프로세싱 파워를 보자면 Xeon이 보통 cache가 크기 때문에 아무래도 유리한 점이 있죠. 그러나 엄청난 workload에 엄청난 메모리를 쓸게 아니라면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집에 기계실이 따로 있고 콘솔은 필요없으며 모두 remote으로 작업한다면 괜찮겠죠. 저라면 공짜로 쓰라고 해도 집에서는 절대 안씁니다.

    • humm 38.***.147.133

      서버의 급 이 어느정도 생각하시는지?
      (up to 이천불) single Xeon E3급 서버면 적당한 부품을 구해서 조립하면 괜찮을 겁니다.
      (up to 오천불) single Xeon E5급 서버면 조립이나 대기업이나 비슷합니다.
      (up to 만불) dual Xeon E5급 서버면 조립보다 대기업 제품이 낫습니다.
      조립이 가능하긴 합니다만… dual 2011-v3 메인보드 정도 되면 eatx에 redundant 600W정도는 들어가야 되는데, 가격이 대기업 제품과 거의 차이 안납니다. 뭐, 재미 겸 몇백불 아낄 겸 해보셔도 괜찮구요.
      (up to 오만불) quad/octa Xeon E7급 서버는 부품이 일반 시장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 sanjoa 175.***.118.145

      최근에 서버를 조립하여 SAP시스템 개발서버 백업용도로 사용중입니다.
      저는 한국에 있는 회사에 전산실에 근무중인데, hp서버나 ibm서버 제가 원하는 사양의 가격이
      최소 500만원이 넘어서 조립을 하게 되었는데, 성능은 기대했던 거보다 몇배나 만족하고 있습니다.
      CPU: [INTEL] 제온 스카이레이크 E3-1230V5 (3.4GHz/8MB/LGA1151) 377,000
      메인보드: [ASUS] P10S-X iBORA 272,460
      POWER: [POWEREX] REXIII DS 700W Single rail 12V DC to DC 57,840- 서버급이라면 정격 700W이상을 추천해드립니다.
      HDD:운영체제(WINDOWS2008 R2)용(C드라이브)로 (Toshiba) Q300 PRO 512GB SSD 280,000와
      레이드구성(raid 5)을 위해 (Toshiba) 4TB MC04ACA400 SATA3/7200RPM/128M /HDD를 3개 538,000사서
      약 7.5테라정도를 DB를 위해 사용중입니다.
      메모리: 이부분이 후회가 되는데, 메인보드사에서 지원하는 규격은 Unbuffered Ecc라고 해서
      (한국에서 쉽게 살수 있는서버메모리는 Reg/Ecc임. 이건 지원안됨) 아마존에서 대행업체를 통해 16G(133불)를
      한화 25만원정도에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메모리는 도착하지 않고 있네요.^^ 일반 ddr4(삼성전자 노트북 DDR4 16G PC4-17000) 90,000를 사용하여
      돌리는데 잘 돌아갑니다.
      뭐 케이스는 서버용 케이스(렉용) 4만원짜리 사서 서버렉에 잘 집어넣어 사용중입니다.
      최근 미국에 갈 준비중이라 혹시 몰라 회사의 pc조립은 제가 되도록 하려하는데,
      여러 pc를 조립해 테스트 해봤지만 이번 조립서버의 속도와 안정성은 따라올수 없을듯합니다.
      한국에서는 최고수의 게이머들이 이렇게 서버급pc를 사용한다 들었는데, 그 이유를 알듯하구요.

      위 제온cpu도 최신 인텔 6세대, ddr4, 메인보드도 그걸 지원하는 최신chipset 인텔c232,
      hdd는 기본 ssd로 돌리면서 안정적인 hdd로 레이드 구성…
      대략 금액은 메모리 빼고 157만원정도네요. 9만원더하면 166만원. 아님 서버용 메모리라면 157+25=182만원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랄께요^^

    • 슈퍼 마이크로 76.***.232.180

      LA 에 있는 한인 호스팅 업체에 근무 합니다.
      미국내 호스팅 업체에서도 많이 사용합니다.
      Supermicro 라는 회사의 제품이 가장 많이 쓰입니다.
      마더보드 / 케이스 따로 따로 아니면
      베어본 형태(저는 베어본을 선호)
      랙타입도 있고 일반 데스크탑 환경도 있습니다.
      일단 pc와 다른점은
      1. Cpu의 캐쉬용량
      2. Multi cpu 지원 가능
      3. Ecc or registered buffer memory 사용
      4. 전용 raid controller
      5 . Hot swap disk
      6. Hot swap power supply

      사실 일반인 들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수준에서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어떤 큰 성능이 필요 하는지에 포커스를 맞추는게 중요해 보입니다.
      일반 조립pc 처럼 구성할수 있는 요소가 다양해서 가격은 편차가 크구요.

      브랜드 서버와 성능면에서 뒤떨어 지지 않습니다.
      하드웨어 관리 편의성과 각종 드라이버 펌웨어 지원 및 기술지원이 다른 점 이지요.

    • ㅍㅍ 99.***.192.95

      서버를 조립해서 쓰는 것은 사업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인력이 충분하거나 장비 경비를 최소화해야하는 경우에 의미가 있습니다.

      비지니스의 규모가 어느정도되면, 서버는 소모품으로 취급해야 경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장비 자체의 비용과 인력,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을 평가해 보면 답이 나올텐데,
      그것은 전적으로 사업적 관점에 따라 다른 답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

      원글의 경우 잠시만 필요하다고 하시니
      아마존 클라우드를 잠깐 사용해보는것이 결과적으로 나을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