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님 , 포닥님들께 여쭤 봅니다.

  • #2915265
    이한길 96.***.9.206 1857

    SCI급 논문을 쓰기가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SCI급 논문도 저널에 따라 게제하기가 많이 차이가 있다고 듣고 있습니다.
    특히 Science 지에 논문이 게재되기가 어렵다고는 듣고 있으나 어느정도 어려운지는 감이 오지 않습니다.
    혹 이에 대하여 논문을 많이 써보신 박사님이나 포닥님들의 경험을 들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sci 12.***.145.154

      변호사님이신가요?
      일단 sci 논문은 워낙 많아서 이것도 어렵다하면 그건 좀 말이 안됩니다. 다만, 아직 sci 논문이 아닌 저널이 있고 거기에 어떤 사정상 논문을 투고해야 하는 경우들도 있어서, 그 사람이 sci급 저널에 투고할 수 없어서 거기에 냈다고 말하긴 어렵지요. 아무튼 sci급 저널은 난이도의 기준으로 삼기는 어렵고 그냥 기본 수준이라고 봐야 합니다.

      Science는 너무 올라간 레벨이네요. Science/Nature/Cell이 피인용지수 (Impact Factor)가 가장 높아서 많이들 내고 싶어 하고 또 많이 거절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엄청나게 좋다고 인정받는 저널들이 각 분야별로 또 있습니다. Science는 어떻게 보면 일반 독자들까지도 대상으로 한다고 봐야 합니다. 즉, 자세한 내용을 잘 몰라도 읽었을 때에 그 성과가 확 다가오는 것들을 (물론, 그런 성과라면 당연히 인류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뛰어난 연구 결과죠.)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아주 훌륭한 논문이라도 성격상 너무 전문적이면 Science에는 안 어울립니다. 연구자들도 거기에 내려고 하지도 않구요. 그런 면에서 모든 이들이 목표로 하는 저널은 아닙니다. Science급의 훌륭한 많은 논문들이 분야별 탑저널에 실리는 경우도 많다는 말입니다. 어쨌든 Science에 내었다는 건 아주 인기 많고 영향력이 굉장히 높은 연구를 수행한 팀에 속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걸 제1저자나 교신저자로 냈다면 그 분야에선 최고 연구가 중 하나라고 말해도 됩니다.

    • 이한길 96.***.9.206

      네 이한길 변호사 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물리 분야에서 사이언스에 제 1저자로 게재했다면 우수한 연구가 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 63.***.35.162

        물리분야로 science 저널 ? 최곤데요. 요즘은 하도 탑저널이 바이오에 치중을 해서 물리로 science 에 싣기 무지 어렵습니다. 바이오에서도 보통 science 제1저자로 하나 있으면 대부분 미국이나 한국 (한국은 좀 실력으로만 가는게 아니긴 하지만) 교수임용 대부분 되더군요. 제 친구들 보면.

    • 전문연 220.***.10.50

      Impact factor가 높지 않은 SCI급 논문은 석사 졸업할 때쯤 되면 한편 나옵니다.

    • 사이언스나 네이쳐에 교신저자 퍼스트저자이면… 45.***.24.58

      한국기자들이 어디서 냄새를 맡고 주요언론에 대서특필됩니다. 한마디로 가문의 영광입니다. 물리분야라면 최고저널입니다. 아마도 영주권에 목맬 필요없이 한국대학에 조교수로 임용되는것은 불을 보듯 뻔합니다. 물리분야에서는 그다음이 APL 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그 중간에 review 저널이 좀 있죠. 리뷰저널은 논문 100편에서 200편정도를 보고 최근 물리특정분야에 대해서 정리하는 식으로 적는데 ….이것은 물리분야 대가급에게 출판사가 요청해서 적는 논문입니다. 인바이트된 논문이라고 합니다.
      바이오 저널의 경우 임팩트 팩트가 대부분 높은데 특히, 셀이라는 저널은 정말 내기 힘들어요. 논문심사자들이 총 9명인데..다른논문들은 대부분 3명…여기에 셀에 내면서 교신저자로 등록되면 벌써 전세계 바이오학계에서는 유명한 사람이 되죠. 한국에선 에스대 김빛 아무개 여 교수가 에스대학 사람들끼리 여기에 낸걸로 압니다.

    • 사이언스나 네이쳐에 교신저자 퍼스트저자이면… 45.***.24.58

      APL 을 PRL로 수정

    • 인문계열 변호사님에게 도움이 될까 해서 45.***.24.58

      연구논문 저널은 보통 두개로 나눕니다. 하나는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고 다른 하나는 아티클 타입인데..커뮤니케이션은 발견된 연구결과를 빨리 싣고 대신에 핫탑픽이니까 많은 사람들이 보죠. 아티클은 그야말로 진짜 논문이죠. 리뷰저널도 보통 아티클에 포함하기도 합니다.